유기농시장....3조 9천억..5년간 3배증가
유기 농산물=유기합성농약.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
무농약 농산물=유기합성농약은 일체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 1/3이내 사용한 농산물
저농약 농산물=화학비료 권장 시비량 1/2.농약살포회수 1/2,제초제 x,잔류농약 1/2
100% 안전한 식품은 없으며,유기농이 안전하다는 것은 농약에 대한 것 뿐.
식품오염원인은 90%세균.바이러스6%,화학물질은 3%밖에 안된다.
식품으로 인해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은 대부분 생물학적 위해요소이고,유기농제품은 단지 3%정도의 화학물질에 대해서만 안전하다.
2008년 미국 167명 살모넬라균 감염 1명 사망 원인=유기농토마토
2011년 유럽 수천명 슈퍼박테리아 감염 수십명 사망 원인= 스페인산 유기농 오이
유기농 재배과정의 문제
유기농 비료에 들어가는 동물성 퇴비는 항생제가 투여된 가축의 퇴비가 섞여 있다.
식물성퇴비는 수입산이 대부분...해당 식물이 농약이나 화학비료로 재배되었는지 확인 할 길 없다.
소.닭 배설물,식물추출물 사용->유기질 비료가 과다하게 뿌려질 가능성(질산염증가.염류집적현상)
채소의 색이 강하고 진할수록 질산염(우리몸에서 발암물질로 전이)수치가 높다
유기농제품은 방부제나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아 미생물 번식이 빠르니 소량구입하여 깨끗하게 세척해야 함.
*** 실제로 유기농 제품과 일반 제품과 영양성분이 크게 다르지 않다.
2011년 소비자 시민모임에서 유기농 우유와 칼슘우유 등을 대상으로 항생제와 농약 잔류량,강화 성분 함유량 검사에서
유기농우유와 일반 우유의 칼슘 비타민 함유량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.
유기농을 포함한 모든 농산물이 세균.바이러스.기생충에 취약.
유기농은 건강에 좋다는 허상
유기농산물= 최소 2~3년 동안 화학비료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생산된 먹을거리
"유기농이라는 표현은 단지 그 제품이 더 비싸다는 것을 의미하는 마케팅 용어"
"유기농 재배, 무농약, 자연적인, 인공첨가물을 넣지 않은 등의 표현도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"
남양유업·매일유업·파스퇴르유업의 유기농 우유를 각 회사의 일반 우유와 비교했을 때
맛과 영양을 결정하는 산도·칼슘·유지방 함유량은 거의 비슷
100㎖당 칼슘 함유량의 경우 남양유업의 일반 우유는 121㎎, 유기농 우유는 124㎎으로 차이가 무의미
반면 판매가격은 유기농 우유가 1팩 기준으로 일반 우유의 1.8~2.6배에 달했다.
'국내여행& 취미활동 > 음식,요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장&소금수입 (0) | 2015.11.24 |
---|---|
간장,제대로 사용하기 (0) | 2015.03.09 |
식자재&서로 상극인 '식품' (0) | 2014.12.13 |
간 맞추기 (0) | 2014.07.06 |
생선 맛있게 굽는 방법 (0) | 2011.09.04 |